반응형
문제
백준 1937 욕심쟁이 판다 C++
1937번: 욕심쟁이 판다
n × n의 크기의 대나무 숲이 있다. 욕심쟁이 판다는 어떤 지역에서 대나무를 먹기 시작한다. 그리고 그 곳의 대나무를 다 먹어 치우면 상, 하, 좌, 우 중 한 곳으로 이동을 한다. 그리고 또 그곳에
www.acmicpc.net
풀이
dp와 dfs가 섞인 재밌는 문제이다.
dp 배열은 해당 칸에서 판다가 시작할 시에, 먹을 수 있는 최대 대나무를 가지고 있는 배열이다. (-1로 초기화)
dfs를 돌면서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친다.
1. 어느 곳에서 시작하든, 자기 자신 칸에 있는 대나무는 먹을 수 있다.
따라서 dp 배열의 최소값은 1이다. result 값을 먼저 1로 설정한다.
2. 상하좌우 순으로, 다음값이 현재값보다 크다면 둘 중 하나를 실행한다.
2-1. dp 값이 -1이라면, 아직 해당 지점을 방문하지 않은 것이다.
해당 지점으로 dfs를 실행한다.
2-2. dp 값이 -1이 아니라면, 해당 지점은 방문한 지점이며 먹을 수 있는 최대 대나무는 dp 배열에 있는 값이다.
따라서 dp 배열값 + 1을 result값과 비교하여 더 큰 값을 result에 넣어준다.
3. 먹을 수 있는 대나무 개수가 가장 최대가 되는 지점은, dp 값이 -1이다. (주변에서 숫자가 제일 작은 지점이므로)
따라서 dfs는 dp 값이 -1일 때만 실행한다.
소스 코드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16
17
18
19
20
21
22
23
24
25
26
27
28
29
30
31
32
33
34
35
36
37
38
39
40
41
42
43
44
45
46
47
48
49
50
51
52
53
54
55
56
57
58
59
60
61
62
63
64
65
66
|
#include <iostream>
#include <algorithm>
using namespace std;
int graph[501][501];
int dp[501][501];
int dx[] = { 0,0,-1,1 };
int dy[] = { -1,1,0,0 };
int n = 0;
int cnt = 0;
int dfs(int y, int x)
{
int result = 1;
for (int i = 0; i < 4; i++)
{
int nY = y + dy[i];
int nX = x + dx[i];
if (nY >= 0 && nY < n && nX >= 0 && nX < n)
{
if (graph[y][x] < graph[nY][nX])
{
if (dp[nY][nX] != -1)
result = max(result, dp[nY][nX] + 1);
else
result = max(result, dfs(nY, nX) + 1);
}
}
}
dp[y][x] = result;
return result;
}
int main()
{
ios_base::sync_with_stdio(false);
cin.tie(0);
cin >> n;
for (int y = 0; y < n; y++)
{
for (int x = 0; x < n; x++)
{
cin >> graph[y][x];
dp[y][x] = -1;
}
}
for (int y = 0; y < n; y++)
{
for (int x = 0; x < n; x++)
{
if (dp[y][x] == -1)
cnt = max(cnt, dfs(y, x));
}
}
cout << cnt;
return 0;
}
|
cs |
반응형
'알고리즘 > 백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백준 2473] 세 용액 C++ (10) | 2023.02.20 |
---|---|
[백준 2467] 용액 C++ (0) | 2023.02.19 |
[백준 17299] 오등큰수 C++ (0) | 2023.01.12 |
[백준 4883] 삼각 그래프 C++ (1) | 2022.12.22 |
[백준 2240] 자두나무 C++ (0) | 2022.11.06 |